인바디(Inbody) 측정 및 제대로 읽는법
인바디 결과를 제대로 읽을 줄 아십니까? 해석은 가능하시나요?
인바디는 우리나라 기업이 개발한 체성분 분석기 브랜드 이름입니다. 대한민국 국민들은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기라고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인바디 인바디 하고는 합니다. 헬스장에 갈 때마다 재보는 인바디, 인바디를 제대로 읽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인바디의 원리
우리 몸의 거의 대부분이 수분으로 이루어져서 수분이 많은 부분은 전류가 잘 흐르게 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은 전류가 잘 흐르지 않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낼 때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측정하여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 등을 측정합니다.
인바디를 측정할 때 맨발로 올라가고 양손에 손잡이를 잡고 팔과 겨드랑이를 닫지 않게 하는 자세는 전류를 흘려보내는 기본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체성분 분석
우리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크게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입니다. 이것을 모두 합을 한 것이 체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인바디는 우리 몸의 성분 분포가 정상범위에 속해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아래의 표를 설명 합니다.

- 체수분(49.5) + 단백질(13.4) = 근육량(62.9)
- 근육량(62.9) + 무기질(4.5) = 제지방량(67.4)
- 제지방량(67.4) + 체지방(18.8) = 체중(86.2)
나의 몸무게(체중)은 이렇게 구성이 되어있다고 생각하면 될거 같습니다. 각 부분별로 괄호는 정상범위를 나타는 것으로서 내가 정상범위에 있는지 초과, 미달 상태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골격근/지방분석
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과 체지방의 비율을 그래프로 표시한 것입니다. 아마도 이 부분이 인바디를 하시는 분들의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관심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래프의 끝 선을 기준으로 하여 C I D 형태의 그래프를 볼 수 있는데 체성분의 목표를 C형은 I형을 1차 목표로, I형은 D형을 1차 목표로 정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그래프 끝선을 연결하면 거의 I자형으로 보입니다. 이경우 D자형이 되기 위한 노력(근골격근 증가)을 해야 하는 겁니다.

- 골격근 : 전체 근육 중 심장근과 내장근을 제외하고 운동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근육을 말합니다.
- 체지방량 :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만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3. 비만분석
비만평가에 중요한 항목인 체질량 지수와 체지방률을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남성의 경우 인바디의 핵심이 근육에 있다면 여성은 당연 체지방률(PBF)이라 할 수 있습니다.

- BMI(Body Mass Index) : 체질량지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질병이환율과 관계를 가집니다.
- PBF(Percent Body Fat) : 체중에서 차지하는 지방의 비율입니다.
사실 인바디로 측정하는 BMI는 일반인의 이해도가 높지 않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지표는 바로 체지방률(PBF)입니다. 적정범위는 여성의 경우는 18~28%(최적비율 23%)이며, 남성의 경우는 10~20%(최적비율 15%)라고 합니다.
4. 복부비만분석
우리 몸의 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방으로 인해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기도 합니다.

4.1. 복부 비만율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체형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지방의 분포에 따라 상, 하체 비만 또는 균형을 판단하는 근거가 되기도 합니다.
4.2. 내장비만 레벨
내장비만은 피하지방에 비해 혈액에 쉽게 녹아들기 때문에 성인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됩니다. 이상적인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분포는 내장지방이 40%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며, 내장지방 레벨은 4~8 사이입니다.
4.3 내장지방 면적
여성의 경우 40~80㎤, 남성일 경우 50~100㎤가 넘을 경우 내장비만의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무엇보다도 적정범위 내에서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마치며
인바디 측정의 목적은 단순한 근육량 체크, 다이어트를 위한 목적이 아닙니다. 몸의 구성 성분을 다양한 수치로 보여주기 때문에 개인별로 적절한 예방이 필요한 것입니다. 모든 것들이 중요하지만 특히 체지방률과 복부비만 등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급여, 종류, 활용 (0) | 2023.09.15 |
---|---|
장기요양보험 요양 등급 신청 꿀팁 (1) | 2023.09.14 |
여성 갱년기 원인 증상 극복 (1) | 2023.08.23 |
남성 갱년기 증상 자가진단, 영양 Best 3, 예방 (0) | 2023.08.09 |
노인냄새, 홀애비 냄새를 없애는 방법 (0) | 2023.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