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의 독성문화, CANDU는 무엇인가?

문화 앞잡이 2023. 3. 19.

독성문화 CANDU는 조직에 있어서는 안 되는 '독이 되는 문화'라고 합니다. CANDU는 Complaining(불평), Avoiding(회피), Neglecting(무시), Defending(방어), Undermining(저해)의 앞글자를 딴 약자입니다. 오늘은 CANDU의 특징, 원인,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직-독성문화-CANDU
테이블에서 회의 및 업무를 하는 조직원들

 


1. 독성문화 CANDU의 특징

1.1. Complaining(불평)

조직 내에서 불만이나 비판을 많이 표출할 뿐 긍정적인 변화나 개선을 시도하지 않습니다. 불평은 조직의 효율 및 조직원들의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1.2. Avoiding(회피)

조직 내에서 책임이나 의사소통을 회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미루거나 숨기려고 합니다. 회피는 조직의 신뢰와 협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1.3. Neglecting(무시)

조직 내에서 중요한 사항이나 의견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들의 가치나 감정은 존중하지 않는 문화입니다. 무시는 조직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1.4. Defending(방어)

조직 내에서 자신이나 자신의 팀에 대한 비판이나 피드백을 받아들이지 않고, 합리화하거나 변명합니다. 방어는 조직의 학습과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1.5. Undermining(저해)

조직 내에서 다른 사람들이나 팀에 대한 과열된 경쟁심과, 서로를 비난하거나 방해합니다. 저해는 조직의 단결과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2. 독성문화 CANDU 발생 원인

2.1. 조직의 목표나 비전이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경우

조직이 추구하는 방향, 가치가 명확하지 않아 직원들이 공감하거나 동기부여되지 않는 경우

 

2.2. 조직의 리더십이 부족하거나 부적절한 경우

리더가 직원들에게 적절한 피드백이나 인정을 주지 않거나, 공정하고 투명하게 의사결정을 하지 않거나, 직원들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2.3. 조직의 커뮤니케이션이 부족하거나 비효율적인 경우

조직 내에서 정보가 잘 공유되지 않거나, 의사소통 방식이 적절하지 않거나,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독성문화 CANDU는 조직의 내부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인 위기나 사회적인 변화 등으로 인해 조직의 안정성이나 유연성이 떨어지면 독성문화 CANDU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독성문화 CANDU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3.1. Complaining(불평)을 줄이고 Celebrating(축하)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피드백, 상호 간의 인정, 성과나 기념일 등을 함께 축하하고 기뻐하는 문화

 

3.2. Avoiding(회피)을 줄이고 Accountability(책임감)

조직 내에서 명확한 역할과 책임, 의사소통이나 협력을 적극적으로 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는 문화

 

3.3. Neglecting(무시)을 줄이고 Nurturing(돌보기)

조직원들의 의견이나 감정을 존중하고 들어주며, 서로의 가치나 장점을 인식하고 발전시켜 주는 문화

 

3.4. Defending(방어)을 줄이고 Developing(발전)

비판이나 피드백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개선의 기회로 보며, 학습하고 성장하는 문화

 

3.5. Undermining(저해)을 줄이고 Unifying(단결)

조직 내 개인은 물론 팀에 대한 경쟁심이나 비난을 줄이고, 서로를 돕거나 협력하는 문화

 

마치며

독성문화 CANDU는 한 번에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지속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리더와 직원 모두가 독성문화 CANDU에 대해 인식하고 개선할 의지와 행동을 보여야 합니다.

댓글


네이버 애널리스틱